본문 바로가기
신경해부 및 신경생리

뇌 자기공명영상(Brain MRI) 해부학anatomy

by 닉네임로딩중 2024. 3. 21.

안녕하세요! 오늘은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해부학적 구조를 다루어보고자 합니다. 앞서 뇌 해부학에 대해 포스팅하면서 MRI 이미지도 첨부하긴 했지만, 한 번에 모아두어 공부하기 편하고자 포스팅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학구적이고 학술적인 내용이라기보다 Brain MRI anatomy 전반을 다루고 공부하는 내용으로 봐주시면 되겠습니다. (MRI의 기법이나 이런거는 다루지 않습니다! ㅋㅋㅋ)

-> Pituitary gland MRI 영상이 궁금해서 들어오신 분은 2)번으로 바로 가시면 됩니다.

그래도 MRI를 해석할 때 T1 강조영상, T2 강조영상 차이점은 알아야 아래 이미지를 공부하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에 간단한 설명이 필요하다.  T1강조영상/T1 weighted image는 뇌실의 물은 까맣게 보이고, 뇌의 실질은 상대적으로 하얗게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T2강조영상/T2 weighted image는 뇌실의 물은 하얗게 보이고, 뇌의 실질은 상대적으로 까맣게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아래 두 이미지를 비교해서 보면 확연한 차이를 알 수 있다.

Brain T1 weighted image
Brain T2 weighted image

이외의 뇌졸중에 특화된 DWI, FLAIR, Gd 이미지 등에 대해서는 각 질병을 공부하면서 포스팅하도록 할 것이다.

1) 대뇌반구Cerebral hemisphere

대뇌반구는 대뇌겉질cerebral cortex, 대뇌백질subcortical white matter, 기저핵basal ganglia으로 나눌 수 있다.

 (1) 대뇌겉질cerebral cortex

대뇌겉질cerebral cortex에는 이마엽(전두엽)frontal lobe, 마루엽(두정엽)parietal lobe, 관자엽temporal lobe, 뒤통수엽occipital lobe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MRI 상에서 각 대뇌겉질의 특징이 나타나는 것은 아니고 MRI 영상을 촬영한 순서, 주변 해부학적 구조물(뇌실 등)에 의해 어느 엽lobe인지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뇌midbrain level에서 lobe은 가쪽은 관자엽temporal lobe, 뒤쪽은 뒤통수엽occipital lobe으로 볼 수 있다.

Brain MRI - cortex

만약 lateral ventricle이 보이는 level이라면 이마엽frontal lobe과 마루엽(두정엽)parietal lobe이 있다고 볼 수 있다.

Brain MRI - cortex

 

 (2) 피질하백질subcortical white matter

피질하백질subcortical white matter에는 superior longitudinal fasciculus, arcuate fasciculus, inferior longitudinal fasciculus, uncinate fasciculus가 있다. 오른쪽과 왼쪽 대뇌반구를 이어주는 대표적인commissural fibers에는 corpus callosum이 있다. 대뇌피질과 피질하백질을 연결하는 projection fibers는 corona radiata, internal capsule을 통과하며 corticospinal projections, corticobulbar projections, thalamocortical projections가 있다.  MRI 상에서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해부학적 이미지를 첨부한다.

Subcortical white matter (출처 : neuroanatomy 4th ed)
Subcortical white matter (출처 : neuroanatomy 4th ed)

 

 (3) 기저핵basal ganglia

기저핵basal ganglia는 줄무늬체striatum과 창백핵pallidum, 시상하핵subthalamic nucleus, 흑질sugstantia nigra로 나눌 수 있다. 줄무늬체striatum은 등쪽줄무늬체dorsal striatum과 배쪽줄무늬체ventral striatum으로 나누어진다. 등쪽줄무늬체dorsal striatum는 꼬리핵caudate와 조가비핵putamen으로 나누어진다. 배쪽줄무늬체ventral striatum는 측중격핵nucleus accumbens와 후각결절olfactory tubercle로 나누어진다. 창백핵pallidum은 등쪽창백핵dorsal pallidum과 배쪽창백핵ventral pallidum으로 나누어진다. 등쪽창백핵은 외측창백핵globus pallidus externa, GPe와 내측창백핵globus pallidus interna, GP로 나누어진다. 

Brain MRI - basal ganglia

이외에도 뇌혈관 MRI 영상, MRA에 대해 알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세요!

https://neurology-joa.tistory.com/4

 

뇌동맥 해부학Brain artery anatomy

신경과 공부를 하고 실습을 돌았을 때 분명 뇌혈관 해부학을 열심히 공부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응급실에서 뇌졸중환자를 초진하는데 MRI, MRA볼 때마다 뇌혈관 해부가 헷갈려서 스스로 공부

neurology-joa.tistory.com

 

2) 사이뇌Diencephalon 

시상thalamus, 시상하부hypothalamus, 시상밑핵subthalamus nucleus, epithalamus(pineal gland 등)로 구성되어 있다. 위치는 corpus callosum 아래이고 midbrain위에 있는 곳이다.

Diencephalon MRI  saggital view

뇌하수체pituitary gland는 호르몬을 분비하는 기관이라 사이뇌에 해당하지 않지만 인접한 기관이라 MRI 영상을 보는 김에 공부하도록 하겠습니다. 요즘 성장호르몬이 잘 분비되지 않아 소아에서 뇌하수체pituitary gland MRI를 찍는 경우가 많다. 정상 뇌하수체와 병적인 뇌하수체를 비교하여 보면 확연한 차이가 있기 때문에 눈에 익혀 공부해두면 좋다.

정상 뇌하수체전엽과 뇌하수체후엽의 T1 강조영상이다. 정상 뇌하수체전엽은 T1 강조영상에서 뇌줄기brainstem과 비슷한 강도를 보이고 정상뇌하수체후엽은 밝게 빛닌다. 

Pituitary gland T1 weighted image

만약 뇌하수체전엽이 커진다면 아래와 같이 눈사람모양으로 보일 것이다. 뇌하수체후엽에 문제가 생긴다면 T1강조영상에서 밝기를 읽고 어둡게 보일 것이다. 만약 MRI 상에서 아래와 같이 뇌하수체전엽이 작지 않고 뇌실질과 비슷한 음영으로 덩이가 보인다면 병변을 의심해보아야 한다. 뇌하수체 종양은 기능성이냐 비기능성이냐에 따라 약물로 조절할 수도 있지만 mass 가 큰 경우 mass effect로 인해 optic chiasm 압박이 심하거나 계속 커지는 덩이라면 TSA를 고려할 수도 있다.(종양마다 다르다! prolatin 분비 종양은 약물치료가 먼저!)

Abnormal pituitary gland T1 weighted image

3) 뇌줄기(뇌간)Brainstem

뇌줄기 해부학은 이전에 포스팅에서 다루었던 것처럼 중간뇌(중뇌)midbrain, 다리뇌(교뇌)pons, 숨뇌(연수)medulla oblangata로 구성되어 있다. 뇌신경 제3~12번도 뇌줄기에서 나가기 때문에 각 level마다 nerve위치를 알 수 있다. 

brainstem MRI

MRI 상에서 중뇌midbrain은 하트모양(가운데가 오목하게 들어간 양상)으로 보이고 관자엽temporal lobe이 주변에 많이 있는 특징이 있다. 소뇌 주름vermis가 명확이 드러나는 level은 다리뇌(교뇌)pons 부터인데 중뇌midbrain보다 큰 뭉툭한 타원형에 가까운 모양이 다리뇌pons의 특징이다. 또한 다리뇌pons에서 나가는 CN7, CN8 신경도 확인할 수 있는데 주행하는 경로가 귀쪽으로 가는지 얼굴쪽으로 가는지 확인하여 nerve compression을 감별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숨뇌(연수)medulla는 2가지 모양으로 보일 수 있는데 하나는 앞뒤가 모두 움푹들어간 양상과 하나는 원통형 양상이다. 숨뇌 역시 소뇌와 인접하여 있어 vermis가 관찰되는데 주변 구조물이 눈 아래라서 부비동sinus와 코nose가 같이 관찰되는 것이 특징이다.

Midbrain MRI horizontal view
Pons MRI horizontal view
Medulla MRI horizontal view

혼자 공부하면서 Brain MRI를 누군가가 간략히라도 구조물을 설명해주면 좋겠다는 마음에 이 포스팅을 작성했는데, 간략한 overview 개념이고 세부적인 내용은 저도 각 질환에 대해 공부하면서 세세히 다룰 수 있도록 공부할게요!

오늘도 긴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